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SQL

[SQL] 테이블 조회(SELECT * FROM), 테이블 구조 참조(DESC), 자료형, 명령어 입력 방법

2023-02-24 TIL 4,5강 Hello World 실행하기, 테이블 구조 참조하기

 

SELECT * FROM 테이블명 : 테이블 보기(조회)

SELECT * FROM sample21;
  • SELECT * FROM은 SQL 명령의 Hello World라 할 수 있다
  • *(애스터리스크)는 테이블의 '모든 열'을 의미하는 메타문자
  • SELECT 와 FROM은 예약어

 

DESC 테이블명 : 테이블 구조 보기

DESC sample21;
  • DESC 명령으로 테이블에 어떤 열이 있는지 알 수 있음
  • Field : 열 이름
  • Type : 해당 열의 자료형
    • int는 Integer(정수)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최대 길이를 나타냄
      • ex. int(11)은 11자리의 정수값을 저장할 수 있음
  • Null : NULL 값을 허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제약사항, YES로 지정하면 NULL 값을 허용
  • Key : 해당 열이 '키'로 지정되어 있는지를 나타냄
  • Default : 그 열에 주어진 '기본값' 즉, 열의 데이터 값을 생략했을 경우 적용되는 값 

 

SELECT 명령어 입력방법

  • SELECT와 * 그리고 FROM 사이에는 스페이스를 넣어 구분(단어와 단어사이를 붙여 입력하면 오류 발생)
  • 명령의 마지막에는 세미콜론(;)을 입력 후 Enter키(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음)
SELECT * FROM sample21;

 

자료형

  • 데이터는 자료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열은 하나의 자료형만 가질 수 있다
  • INTEGER : 정수
    • 수치형, 정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소수점X)
  • CHAR : 고정길이 문자열
    • 문자열형,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열의 최대 길이를 지정해야 함
    • 언제나 고정된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됨
    • CHAR(10)으로 자료형을 지정했을 경우 최대 10문자로 된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음
    • 최대 길이보다 작은 문자열을 저장할 경우 공백문자로 나머지를 채운 후 저장
  • VARCHAR : 가변길이 문자열
    •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열의 최대 길이를 지정해야 함
    • CHAR과의 차이점은 데이터 크기에 맞춰 저장공간의 크기가 변경된다는 것 => '가변 길이 문자열' 자료형이라고도  함
  • DATE
    • 날짜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연월일의 데이터
  • TIME
    • 시간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시분초의 데이터
  • 수치형 데이터 : 숫자로만 구성된 데이터, 오른쪽 정렬
  • 문자열형 데이터 : 문자로 구성된 데이터, 왼쪽 정렬
  • 날짜시간형 데이터 : 날짜와 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 왼쪽 정렬

 

기타개념

  • 데이터베이스에는 테이블 외에,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만들 수 있다
    • 데이테베이스 객체 : 테이블, 뷰(view, 6장에서 설명) 가 해당됨
  • 예약어와 데이터베이스 객체명은 예약어와 동일한 이름이나 중복되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고,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 값이 없는 데이터 NULL
    • 아무것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