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7 TIL 20강 행 개수 구하기 - COUNT
SELECT COUNT(*) FROM [테이블명] : 행 개수 구하기
- 집계함수는 집합으로부터 하나의 값을 반환한다
- *을 인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COUNT 함수뿐이다
SELECT COUNT(*) FROM sample51;
- WHERE구로 조건을 지정하면 테이블 전체가 아닌, 검색된 행이 COUNT 로 넘겨진다
SELECT COUNT(*) FROM sample51 WHERE name = 'A';
COUNT는 NULL 값을 무시한다
- 특정 열을 선택하여 COUNT할 경우 null값은 무시한다
- COUNT(*)의 경우 모든 열의 행수를 카운트하기 때문에 NULL값이 있어도 해당 정보가 무시되지 않는다
SELECT COUNT(no), COUNT(name) FROM sample51;
DISTINCT : 중복 제거하기
- DISTINCT를 지정하면 중복된 데이터를 제외한 결과를 반환한다
- DISTINCT가 아닌 ALL을 지정하면, 중복 유무와 관계없이 문자 그대로 모든 행을 반환한다
- 생략할 경우 ALL로 간주된다
SELECT ALL name FROM sample51;
SELECT DISTINCT name FROM sample51;
DISTINCT와 COUNT를 함께 사용하기
- DISTINCT를 이용해 집합에서 중복을 제거한 뒤 COUNT로 개수를 구한다
SELECT COUNT(ALL name), COUNT(DISTINCT name) FROM sample51;
'프로그래밍 언어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그룹화(GROUP BY), 그룹화 조건(HAVING) (0) | 2023.04.12 |
---|---|
[MySQL] 합계(SUM), 평균(AVG), 최솟값(MIN), 최댓값(MAX) (0) | 2023.04.10 |
[MySQL] 물리삭제(DELETE)와 논리삭제(UPDATE) (0) | 2023.04.05 |
[MySQL] 데이터 갱신하기(UPDATE) (0) | 2023.04.03 |
[MySQL] 삭제하기(DELETE)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