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16 TIL 1강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란?
-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숫자
- 데이터베이스란?
- 데이터의 집합
- 특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을 때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도록 정리된 형태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메모리(SSD) 등 비휘발성 저장장치에 저장함(영구 보존)
-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한다
- 데이터센터의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웹 시스템을 통해 접근
- 개인용 컴퓨터나 휴대 기기에 내장되어 있기도 함
- 편의점 POS기에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로 전송
- 핸드폰의 전화번호부
- DB와 DBMS
-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 약자
- 저장장치 내에 정리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 사용하는 이유(목적)
- 생산성 향상: 데이터 검색, 추가, 삭제, 갱신과 같은 기본 기능을 처리함
- 기능성: 여러 사람의 요청에 대응,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속으로 검색하는 기능 제공,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을 유저가 확장할 수도 있음
- 신뢰성: 일부 DBMS는 컴퓨터 여러 대를 두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장성과 부하 분산을 구현하는데, 이것을 클러스터 구성 또는 스케일 아웃이라고 부름
-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 약자
- SQL은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이다
-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조작할 때 사용
- SQL 명령의 종류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 새롭게 데이터를 추가,삭제,갱신 등 데이터를 조작할 때 사용
- 가장 기본인 명령셋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를 정의하는 명령어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베이스 객체라는 데이터 그릇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이 같은 객체를 만들거나 삭제하는 명령어
- DCL(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를 제어하는 명령어
- 트랜잭션(8장에서 설명)을 제어하는 명령과 데이터 접근권한을 제어하는 명령이 포함됨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오늘 읽은 소감은?
-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트랜잭션 transaction의 사전적 의미: 거래, 매매
8장에서 나온다니깐 지금은 알아보지 않겠다
'프로그래밍 언어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테이블 조회(SELECT * FROM), 테이블 구조 참조(DESC), 자료형, 명령어 입력 방법 (0) | 2023.02.25 |
---|---|
[SQL] mysql 클라이언트 사용법, 데이터베이스 import 하기, 데이터베이스 목록(show명령어) (0) | 2023.02.21 |
[SQL] 데이터베이스 서버/클라이언트-서버 모델/사용자 인증/CGI (0) | 2023.02.18 |
[SQL] 데이터베이스 종류/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RDBMS 데이터베이스 제품 (0) | 2023.02.18 |
[SQL 책] SQL 첫걸음(하루 30분 36강으로 배우는 완전 초보의 SQL 따라잡기)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