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13일차 TIL 2023-01-25 TIL 에피소드 39~45 세줄 요약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의 차이, REST API의 개념, 개발환경을 쉽게 세팅해 주는 도커와 도커가 동작하는 환경인 컨테이너, 암호화폐와 코인의 진실, 하이브리드앱/크로스 플랫폼 앱/네이티브 앱이 무엇인지, 유일함을 증명하는 NFT가 무엇인지, 멀웨어/바이러스,/웜 개념과 사이버무기 스턱스넷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인공지능은 좁은 인공지능과 일반 인공지능으로 나눌 수 있다(39.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아직도 구분하기 힘들다고?) - 일반 인공지능은 사람처럼 행동하는 인공지능이다. 지금 기술로는 일반 인공지능을 만들 수 없다. 현실에는 없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인공지능 - 좁은 인공지능은 한 가지..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12일차 TIL 2023-01-24 TIL 에피소드 35~38 세줄 요약 해시함수를 사용한 비밀번호 시스템과 레인보우 테이블 그리고 무작위 텍스트인 솔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클래스와 상속, 결과 중심의 선언형 프로그래밍, 할 일을 세세하게 지시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 함수 중심으로 코드를 적으며 선언형 프로그래밍의 컨셉을 유지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알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해시함수를 사용한 비밀번호 시스템(35.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 해시함수는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앞에 살고 있는 마법사 같은 녀석인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무작위 값으로 둔갑시켜 준다. - 해시함수는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진다. (사용자가 입력한 값과 대응되는 무작위 값은 계..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10일차 TIL 2023-01-22 TIL 에피소드 30~34 세줄 요약 레거시 시스템과 책임 있는 개발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DBMS와 대화하기 위한 언어인 SQL, 데이터베이스 자체의 성질도 다른 NoSQL, 파일 이력을 관리하는 깃과 저장하고 공유하는 공간인 깃허브, 가장 널리 쓰이는 버전 표기 방식인 시맨틱 버저닝에 대해 공부할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오래 전에 개발된 시스템을 레거시(legacy) 시스템이라고 한다(30. 코로나가 준 레거시 시스템의 교훈) - ex. 코볼(COBOL) 프로그램은 책임 있게 만들어야 하며,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 -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에 완벽하게 책임을 져야 한다. - 프로그램이 돌아가기만 하면 그만이 아니다. 코드를 대충 짜지 말자. - 개발자..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9일차 TIL 2023-01-21 TIL 에피소드 26~29 세줄 요약 데이터를 순서 있게 정리하는 정렬 알고리즘, 팬케이크와 같은 스택과 버스정류장에서 줄 서는 것과 같은 큐, 키와 값을 짝지어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해시 테이블, 부연설명이 필요 없이 코드를 읽기만 해도 스르륵 이해되는 클린코드 작성 꿀팁 등을 알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데이터를 순서 있게 정리하는 정렬 알고리즘(26.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 1. 버블 정렬 - 두개의 값을 비교하고 오른쪽으로 1칸씩 밀면서 정렬 - 시간 복잡도는 O(N²)이므로 좋은 알고리즘은 아님 2. 선택 정렬 - 가장 작은 데이터 또는 가장 큰 데이터의 '위치'를 따로 기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 시간 복잡도는 O(N²)이지만, 자리를 바꾸는 연산은 사..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7일차 TIL 2023-01-19 TIL 에피소드 22~25 세줄 요약 코드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자료구조와 선형/이진 검색 알고리즘,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 배열의 원리, 작업 단계를 측정하여 작업시간을 측정하는 시간복잡도, 알고리즘으로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절차 수를 표현하는 Big-O 표기법 등을 알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코드를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2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라고?) 알고리즘이란, 컴퓨터에게 내리는 지시 사항을 나열한 것 - 패스파인더(pathfinder) 알고리즘 : 지도 앱에서 목적지까지 최대한 빨리 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 - 압축(compression) 알고리즘 : 이미지를 최대한 덜 손상하면서도 용량을..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6일차 TIL 2023-01-18 TIL 에피소드 16~21 세줄 요약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망한 이유, 브라우저 엔진, 쿠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그리고 풀스텍이 하는 일, 서버, 서버리스의 의미 등을 알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16.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랑받았던 이유 : 최신 기술을 가장 빨리 지원했음(CSS와 Ajax를 최초로 적용한 웹 브라우저) - 2003년 시장 점유율 95% 였지만, 이 후 엔진 개발을 게을리 하여, 좋은 엔진을 갖춘 다른 브라우저들에게 자리를 빼앗기게 됨 브라우저 엔진(렌더링 엔진) - 웹 브라우저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역할 - 엔진의 성능이 웹 브..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5일차 TIL 2023-01-17 TIL 에피소드 11~15 세줄 요약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공통점과 차이점, 제이쿼리가 인기있었던 이유, API 개념, 도메인 시스템, 플래시의 흥망성쇠를 알아볼 수 있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 거 아냐?) - 라이브러리 : 제어권이 나에게 있다.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쉽다. - 프레임워크 : 제어권이 나에게 없다.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어렵다. 제이쿼리는 정말로 필요할 때에만 배우자.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자.(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API는 키보드와 비슷하다(다리역할). 프로그램끼리 소통하도록 도와준다.(13. 그놈의 API, 대체 뭐길래?)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하기 쉬운 실수.. 더보기
[IT 5분 잡학사전] 노개북 챌린지 3일차 TIL 2023-01-15 TIL 에피소드 06~10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오류를 통해 훌륭한 개발자가 되는 방법(06. 왜 나만 오류가 자주 생길까?) 1. 문제가 생겼을 때 나 자신을 문제에서 빼지 말 것 - 책이나 인터넷 문서를 탓하지 말자. 코드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코드를 입력한 나 자신 때문이다'. 2. 오류부터 고치려고 무작정 달려들지 말 것 - 오류를 고치기 전에 오류가 '왜' 생겼는지를 알아야 한다. - 왜 오류가 났는지 원인을 찾고 이해하자. 3. 오류 메시지를 읽을 것 - 오류 메시지에 오류가 난 원인이 있다. - 오류가 났다면 코드 보러 가는 것이 아니라 오류 메시지부터 읽는 습관을 기르자.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하기 쉬운 실수 1. 공부만 하고 실제로 무언가 만들어 보지 않는다 -.. 더보기